티스토리 뷰
스트레스 그 자체는 매우 불쾌하고 권태감을 주는 부정적 경험의 일종임이 틀림없으나, 그 강도는 모든 사람에게 동일하지 않다. 심지어는 동일한 사람이 겪는 스트레스도 장소와 시간에 따라 서로 다르게 경험되는 것이 특징이다. 스트레스를 주는 것 그 자체가 문제가 되는 것이 아니고 심리적으로 어떻게 지각하고 평가하느냐, 어떻게 극복하느냐, 어떤 결과를 기대하느냐, 통제가 가능하다고 생각되느냐, 그리고 그에 대해 어떤 감정을 갖느냐에 따라 서로 다르게 나타난다. 그러므로 스트레스 경험은 한 개인의 심리적 반응과 기제가 중요하게 작용하게 된다.
스트레스의 심리적 기제
개인이 직면한 스트레스 원의 특징에 따라 그에 대한 개인의 반응은 크게 달라진다. 자신이 직면한 스트레스를 평가하고, 그에 대한 극복 책략을 결정할 때 그에 관계되는 요인은 매우 다양하다. 그 가운데 하나는 스트레스의 지속 기간이다. 일반적으로 스트레스에 대한 평가와 그 결과가 부정적일 때 그 효과는 장기간 지속된다. 암과 같은 만성적 질병을 앓고 있는 사람은 감기와 같은 급성 질병을 단기간 앓고 있는 사람보다 자신의 질병을 부정적으로 보는 경향이 있고 여기에는 우울증이나 무력감과 같은 부정적 정서가 수반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장기간 스트레스에 노출되었지만 단기간 스트레스에 노출된 것보다 부정적 결과가 나타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심한 소음에는 짧은 시간 노출되어도 인지적 과제수행 능력이 크게 떨어지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중간 정도의 소음에는 장기간 노출되어도 효과적인 환경적응이 가능한 사람도 있다. 만성 스트레스 원에 대한 적응 능력은 스트레스 원에 대한 평가, 극복 책략, 그리고 스트레스 원이 가지는 특징에 의해서 결정된다.
1) 예언 가능성
스트레스 예언 가능성은 반응에 대한 특징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이다. 개인이 예언 가능성이 높은 전기자극에 대해서 느끼는 혐오감과 불쾌감의 수준은 예언 가능성이 낮은 전기자극을 받았을 때 느끼는 것보다 훨씬 낮다는 사실이 실험적으로 입증되었다. 또 예언 가능성이 높은 자극에 대한 중추신경계통의 각성수준은 예언 가능성이 낮은 자극에 대한 각성수준보다 현저히 낮다. 대부분의 사람은 예언 가능성이 높은 스트레스 원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예언 불가능한 스트레스 원보다는 예언할 수 있는 스트레스 원에 직면하기 전에 정서적으로는 보다 심한 불쾌감을 느끼고 자율신경계통에서는 각성수준이 보다 높아진다. 여기서 스트레스 원의 위험이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어떤 스트레스 원은 그것이 예언 불가능할 때보다 효과적으로 그리고 쉽게 극복할 수 있다. 또 자신이 직면한 스트레스를 자기가 만족하게 통제할 수 있고, 또 변화시킬 수가 있는지 없는지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2) 통제 가능성
자기 자신이 스트레스 원을 효과적으로 극복할 수 있다고 지각하는 것은 그에 대한 인지적 평가, 극복, 그리고 적응 결과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주요 원인이다. 자기 자신이 직면한 스트레스 원을 통제할 수 있다는 신념은 사태에 대한 평가이다. 통제에 대한 일반적 신념은 자기 자신이 주어진 사태를 성공적으로 통제할 수 있는 그 범위도 될 수 있고, 중요성에 대한 평가의 결과도 될 수 있다. 통제좌표는 하나의 성격 차원으로 이는 자신의 생활을 통제할 수 있다는 일반적 신념이다. 내적 통제좌표를 가진 사람은 자기가 직면한 어떤 사건과 그 사건의 결과는 자기 행동과 유관 관계가 있다고 생각한다. 이와는 달리 외적 통제좌표를 가진 사람은 자기가 직면한 어떤 사건이나 결과가 자신의 운명, 행운, 혹은 외부 상황에 의해서 결정된 결과라고 생각한다. 내적 통제좌표를 가진 사람은 스트레스를 보다 잘 극복한다. 예를 들면, 내적 통제좌표를 가진 환자는 외적 통제좌표를 가진 환자에 비해 긍정적 자아개념은 높고 우울증의 수준은 낮게 나타난다. 통제 수준이 높은 사람은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고 평가한다. 주어진 사태를 스스로 통제 가능하다고 믿는 신념은 만성병 환자가 스트레스를 극복하고 적응하는 데 크게 도움이 된다. 유방암 환자에 대한 연구에서 자기통제감은 자신의 암을 자기 힘으로 보다 효과적으로 극복하는 데 크게 도움이 된다는 경험적 연구에 의해서 밝혀진 바 있다. 그러나 현실과 부합되지 않은 통제 감각은 스트레스를 더욱 유발한다. 그러므로 통제평가의 내용이나 유형이 통제 효과를 평가하는 과정에서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야 한다.
3) 무기력감
사람은 통제 불능사태에 계속해서 직면하게 되면 무기력의 상태에 빠지게 된다. 무기력 이론에 따르면, 무기력은 동기, 인지 및 정서의 결함에서 오는 학습 결과라고 한다. 인간은 주어진 자극에 대한 반응이 자기에게 별로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생각되면 그 행동반응의 빈도는 감소하는데, 이것이 곧 동기의 결함이다. 또 자기가 바라는 결과를 얻기 위한 행동반응 학습이 매우 곤란하다고 생각하는데 이것이 곧 인지의 결함이다. 그리고 개인은 통제가 불가능한 사실을 학습하고 나면 매우 불쾌감을 느끼는 것이 곧 정서의 결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사실은 실험실의 개를 대상으로 밝혀진 사실이기 때문에 인간에게 똑같이 적용된다고 볼 수는 없다. 무기력 현상은 스트레스ㅡ질병연구에 매우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다. 질병의 원인, 진행 과정, 그리고 치료 방법이 전혀 알려지지 않은 만성병 환자는 자신의 질병을 통제 불가능한 것으로 생각한다. 이러한 경우 환자는 통제가 불가능하다는 생각 때문에 동기, 인지 및 정서의 결함 현상을 경험하지 않을 수가 없다.
4) 감내성
효과적인 스트레스 극복을 위해서는 감내성과 같은 성격특성이 필요하다. 신념이나 생각만으로는 효과적인 스트레스 극복은 기대할 수 없다. 감내성 성격을 가진 사람은 자기 생활 주변의 사건은 스스로 효과적으로 통제할 수 있다는 강한 신념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실제 적극적으로 관여해서 해결해보려고 한다. 그들은 또 환경변화에 보다 효율적으로 적응할 수 있다. 이들은 내적 통제좌표를 가진 사람과 여러 측면에서 유사하다. 그들은 인지적 통제기능 수준이 높아 스트레스 사태에서 새로운 의미를 찾기 위한 노력을 한다. 이러한 특징을 가지면 효과적으로 스트레스를 극복할 수 있고, 또 거기에서 오는 질병도 효과적으로 치유하고 극복할 수 있다.
2023.05.15 - [정신 건강(mental health)] - 스트레스의 개념
스트레스의 개념
1. 스트레스의 개념 1) 자극으로서의 스트레스 스트레스는 결과를 예측할 수 없는 자극이다. 우리가 스트레스를 받으면 심한 권태감과 피로감을 느낀다. 그러므로 스트레스는 독소적이며 불쾌한
zzulife.tistory.com
2023.05.16 - [분류 전체보기] - 스트레스의 종류
스트레스의 종류
저번 글에선 스트레스의 개념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2023.05.15 - [정신 건강(mental health)] - 스트레스의 개념 스트레스의 개념 1. 스트레스의 개념 1) 자극으로서의 스트레스 스트레스는 결과를
zzulife.tistory.com
'건강 (health)'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적응장애(뜻, 기준, 관리법, 건설적&비건설적 대처방법) (0) | 2023.05.17 |
---|---|
스트레스와 부정적인 기분 (0) | 2023.05.17 |
스트레스의 종류 (0) | 2023.05.16 |
스트레스의 개념 (0) | 2023.05.15 |
여행이 신체 건강,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여행 중 건강을 지키는 팁) (0) | 2023.05.11 |